소소한 기타 연주 Tip

하이코드 정말 쉽게 잡는 꿀팁!

구로료 2023. 2. 16. 12:57
반응형
SMALL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구로료입니다!

오늘은 다들 어려워하시는 하이코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볼까합니다.

 

초급난이도(오픈코드 연주)를 지나면 하이코드로 진입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손가락 하나로 6줄을 동시에 눌러주는 하이코드의 모양 특성상

처음에는 소리도 안나고 손가락도 아파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실거에요 ㅠㅠ

 

그래서 오늘은 제가 이 하이코드를 쉽게 잡는 방법과 기본 개념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우선, 하이코드를 잡으시려면 기본적으로 오픈코드(로우코드) E코드를 잡으실 수 있어야합니다!

 

E코드

이 모양이 오픈코드 E가 됩니다.

 

이 모양들을 왜 알아야 하냐면, 하이코드의 모양들이 사실 위 두가지 코드에서 파생된 코드모양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밑으로 내려가서 하이코드 모양을 확인해볼까요?

 

하이코드 F

저희가 누르기 힘들어하는 바로 그 F 코드입니다.

6~1번줄에 쭉 선이 표시되어있는 1번칸 자리는 1번손가락으로 눌러주는 자리입니다.

바로 위의 E코드 모양에서 개방현 자리들이 그대로 1번 플랫으로 올라온 느낌이 되죠.

 

바로 오른쪽에 있는 모양은 E 코드 모양이 되구요.

 

이런식으로 1번손가락을 제외하고 2,3,4번 손가락으로 E코드를 누르고,

1번 손가락은 일자로 쭉 6줄을 동시에 눌러주게 되면 F코드가 됩니다.

 

6번줄에서 E음과 F음은 기타에서 1칸 차이가 됩니다.(이것을 반음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E코드 모양을 그대로 F까지 옮기게 되면 전체음이 반음씩(1칸) 올라간것이기 때문에

F코드가 됩니다.

 

이제 여기서 1번 손가락의 위치가 중요한데요.

1번 손가락은 최대한 플랫쪽으로 붙여주신 상태로 눌러주시고

손가락이 일자가 될 수 있게 만들어줍니다.

 

그럴려면, 엄지손가락은 최대한 밑으로 향해있어야합니다.

기타의 넥에서 가장 볼록 튀어나온 부분에 왼손 엄지손가락을 두고 1번손가락을 쭉 피면 

소리가 조금씩 나며 1번 손가락이 일자가 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상태 그대로 2,3,4번 손가락을 E코드 모양을 만들어주면 되는것이죠.

 

 

 

 

오늘 저희가 알아본 하이코드의 모양은 

6번줄 음을 근음(Root)으로 하는 모양이였습니다!

 

다음번 포스팅에서는 5번줄 음을 근음으로 하는 모양의 하이코드를 잡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LIST